1. 회선 교환 방식의 의미와 원리
회선 교환 방식 : 통신 장치 사이의 물리적인 전송로를 점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.
1) 회선 교환기에 의해 회선이 교체되어 통신 장치 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.
2) 회선 교환기 사이의 회선 n개가 통신 장치 n쌍에 의해 점유되면 더 이상 다른 통신 장치가 접속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다.
3) 대표적으로 공중전화망이 있다.
2. 패킷 교환 방식의 의미와 원리
패킷 교환 방식 : 통신 장치 사이의 물리적인 전송로를 통해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식.
1) 분할된 데이터인 패킷이 패킷 교환기에 의해 적절한 경로로 라우팅되고 수신된 패킷이 순서에 맞춰 재조립되어 통신 장치 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.
2) 패킷 교환기 사이의 회선 n개 이상의 통신 장치가 접속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지만 통신 속도가 지연된다.
3)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으로 나뉜다.
- 가상 회선 방식 : 어떤 패킷이 전송되기 전에 송신지와 수신지 간의 논리적인 경로가 미리 성립되는 방식.
- 데이터그램 방식 : 송신지와 수신지 간의 경로를 정해 놓지 않고 각각의 패킷을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방식.
3.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의 차이
|
회선 교환 방식 |
패킷 교환 방식 |
전용 전송로 |
유 |
무 |
전송 단위 |
연속적인 데이터 |
패킷 |
전송 경로 |
동일한 전송 경로 |
가상 회선 방식 – 전체 패킷에 대해 동일한 전송경로 데이터그램 방식 – 각 패킷마다 임의의 전송 경로 |
전송 데이터와 수신 데이터의 순서 |
일치 |
가상 회선 방식 – 일치 데이터그램 방식 – 불일치 |
적합한 전송 형태 |
연속적 전송 |
일시적 전송 |
오버헤드 |
연결 설정 후 불필요 |
각 패킷마다 필요 |
참고:
하루 3분 네트워크 교실 (아미노 에이지 지음 / 김현주 옮김)
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(박기현 지음)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데이터와 신호의 차이 (아날로그/디지털 데이터, 아날로그/디지털 신호) (0) | 2020.08.15 |
---|